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HTML 레이아웃 만들기

HTML은 web에서 사용되는 마크업 언어로 사이트의 뼈대가 되는 부분입니다. 기본적인 골격을 만들기 위해 html 언어를 사용하게 됩니다. 여기서는 기본적인 영역을 구분하는 레이아웃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니다.


    HTML 레이아웃(Layout) 도움이 되는 사이트 모음

    다양한 학습법 중 실습이 중요한 분야들이 있습니다. Web도 그런 분야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실력이 발전할 수 있죠. 중간에 막히는 부분을 시원하게 뚫어주고 개념을 잡아 줄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① TCP SHCOOL(바로가기)


     - 다양한 코딩에 관련된 개념을 정리하고 학습할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HTML도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기 때문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② MDN(바로가기)


     - mozilla하면 떠오르는 것이 있겠죠. web의 html에 관련된 내용들을 자세하게 알아볼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그 밖에도 CSS, javascript등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③ w3schools(바로가기)


     - html, css, javascript, sql, python등 다양한 코딩 언어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 내용만 숙지해도 충분히 좋은 결과물을 만들 수 있을 것 같네요.


    ④ 생활코딩(바로가기)


     - 생활코딩은 유명한 사이트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web을 비롯한 인공지능 ai 기술까지의 기초를 다지는데 도움을 받는 사이트이기도 합니다. 또한, 코딩야학이라는 프로그램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참고하면 도움이 될 수 있겠죠.


    HTML 레이아웃 이해하기

    우리가 사용하게 되는 web은 그 영역이 나뉘어져 있습니다. 당연하겠죠. 텍스트 영역과 이미지 영역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보다 더 크게 영역을 구분하면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header / body / footer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메뉴바가 존재하는 영역이 header입니다. 여기서는 사이트 로고, 사이트 이름등의 내용을 포함하게 됩니다. 다음 body영역이 있습니다. 여기에는 사이드바 / 콘텐츠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footer영역이 있는데요. 사이트의 간략한 소개, 사이트맵, 관리자 내용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위 사진은 html 레이아웃을 구분하는 하나의 예시이며, TCPSCHOOL의 코드를 참고했습니다.

    HTML5, semantic 요소

    위에서 이용한 코드는 <div></div>태그를 이용한 레이아웃의 구분입니다. 반면, 레이아웃만을 위한 별도의 태그들이 있습니다. 이런 태그를 semantic 요소라고 하는데요. HTML5에서 사용됩니다.

    각 영역의 태그들은 <head>, <nav>, <article>, <section>, <footer>등이 존재합니다.

    의미 요소설명
    <header>HTML 문서나 섹션(section) 부분에 대한 헤더(header)를 정의함.
    <nav>HTML 문서의 탐색 링크를 정의함.
    <section>HTML 문서에서 섹션(section) 부분을 정의함.
    <article>HTML 문서에서 독립적인 하나의 글(article) 부분을 정의함.
    <aside>HTML 문서에서 페이지 부분 이외의 콘텐츠(content)를 정의함. 
    <footer>HTML 문서나 섹션(section) 부분에 대한 푸터(footer)를 정의함.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애드센스 보고서 보는 방법(날짜별, 일별)

    애드센스를 운영하다보면 차트를 수시로 보게 됩니다. 수익이 많이 잡히는 것이 아니어도, 단 1클릭만 발생하면 체크하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많은 경험이 있는 사람들은 '그 시간에 1개의 포스팅을 해라'라는 이야기를 하기도 합니다. 너무나 좋은 이야기임에 분명하지만, 사람의 마음이 또 그렇지 않습니다. 오늘은 얼마의 수익이 발생했는지 확인하고 싶어지기 때문이죠. 애드센스 홈페이지에 방문한 후, '보고서'를 통해 수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고서는 기본적으로 '지난 7일'을 기준으로 합니다. 전체 수익을 보여주게 되는데요. 전체적인 통계를 보는 방법으로 괜찮습니다. 하지만, 하루 수익을 보기 위해서는 별도의 설정이 필요합니다. 수익이 발생하여 기쁜 마음과 궁금증으로 애드센스를 보기도 하지만, 분석을 위해서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7일을 기준으로 보고서를 보는 경우 수익변화를 분석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자주 이용하는 방법은 일별 수익 변화이기 때문이죠. 이번에는 애드센스 보고서 설정을 통해 수익 변화를 살펴보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Contents 애드센스 보고서 보는 방법 가장 먼저 애드센스 보고서 보는 방법을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애드센스 메인 홈페이지에 접속하도록 합니다. 기본적으로 왼쪽 바이드바에는 여러 기능이 있습니다. 만약, 사이드바에서 아이콘만 보인다면 상단에 있는 햄버거 버튼(가로줄 세개)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위 사진을 참고하면 됩니다. 스크롤을 내리면 '보고서' 라는 메뉴를 찾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본격적으로 '오늘', '지난 7일', '최근 30일', '이번달', '지난달', '맞춤 설정' 등을 진행하여 보고서 양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애드센스 보고서 설정하기 보고서 페이지 상단에 있는 기본 설정 탭을 이용합니다. ● 오늘 가장 먼저 활용할 방법은 '오늘...

    구글 블로거 파비콘 넣는 방법(파비콘 쉽게 만들기)

    웹사이트는 다양한 요소를 기준으로 SEO 점수를 측정합니다. 일부 스팸 사이트의 경우, 세밀한 설정을 생략한 후 다량으로 생성되는 콘텐츠만 이용하기도 하죠. 사이트를 상징할 수 있는 것으로 대표되는 것은 파비콘, 로고, 도메인이 있습니다. 구글 블로거에서 파비콘을 넣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또한, 보다 쉽게 파비콘을 만드는 방법도 살펴봅니다. Contents 구글 블로거 파피콘 등록하는 방법 ① 블로거 설정 메뉴 구글 블로거에는 다양한 기본 설정을 조절할 수 있는 메뉴가 있습니다. 여기서 파비콘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② 파비콘 등록하기 설정에 있는 파비콘 메뉴를 선택합니다. 새로운 창이 뜨면서 파비콘을 등록할 수 있는 페이지를 볼 수 있습니다. ③ 파일 선택 및 저장 준비된 파비콘 이미지를 '파일 선택' 기능을 이용해 선택합니다. 페이지에 파비콘이 등록되는 모습이 보인다면 '저장' 버튼을 이용해 서버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파비콘 설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블로그에 파비콘이 나타나지 않는 것은 설정이 적용되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입니다. 1일~2일 정도 기다리면 적용된 파비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그보다 짧은 시간에 적용된 모습을 볼 수도 있습니다. 파비콘 쉽게 만들기 파비콘은 웹사이트 탭에서 볼 수 있는 작은 아이콘을 의미합니다. 해당 파일은 '.ico' 확장자로 이루어진 파일을 사용해야 합니다. 원하는 아이콘 파일 혹은 이미지 파일을 준비한 후, ico파일로 변환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1. 아이콘 혹은 이미지 파일 준비하기 이미지 편집 혹은 만들기가 쉽지 않게 느껴진다면 '무료 아이콘'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구글 검색에서 '무료 아이콘'이라고 검색하면 수많은 사이트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그 중 하나를 살펴보도록 합니다. 👉 flaticon.com 해당 사이트는 무료 벡터 아이콘 및 스티커를 공유하는 사이트입니다. 여기서 사용자가 ...

    구글 블로그 소제목 꾸미기(ft.블로그 템플릿 설정)

    이미 티스토리, 네이버 블로그에 익숙한 사람들에게 구글 블로그는 참 불편한 서비스임에 분명합니다. 다양한 편의 기능들이 없기 때문이죠. 그나마 워드프레스는 조금 수월하기는 합니다. 그럼에도 구글 블로그를 이용하려는 사람들이 국내에서도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저도 그렇구요. 불편하면 고치면 됩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티스토리 블로그와 같은 소제목 스타일을 구글 블로그에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구글 블로그 소제목 설정 티스토리, 워드프레스에는 css를 편집할 수 있는 툴이 존재합니다. 구글 블로그에도 분명 이런 기능이 있습니다. 다만, css를 추가 혹은 편집한 결과를 보는 방법이 익숙하지 않기도 합니다. 티스토리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되는 글 형식을 미리 불러오는 방법으로 '서식'을 이용하게 됩니다. 구글 블로그에도 티스토리 블로그의 '서식'과 비슷한 기능이 있습니다. 설정에서 찾을 수 있는데요. 바로 " 글 템플릿 "입니다. 글 템플릿이란, 새 글을 작성할 때 미리 설정한 템플릿(서식)을 불러오게 됩니다. 이렇게 불러온 서식에 원하는 글을 작성하는 방법입니다. 글 템플릿 설정 방법 이제 본격적으로 구글 블로그의 글 템플릿 설정 방법을 알아보도록 합니다. 구글 블로그 '설정'에서 '글' 메뉴를 찾으면 됩니다. 구글 블로그 설정 > 글 > 글 템플릿 지정 1. 구글 블로그 설정 구글 블로그에 접속하면 기본적으로 사용자 관리 페이지로 보여지게 됩니다. 처음에는 이 심플한 모습이 낯설기만 하죠. 왼쪽에는 다양한 기능들이 모여있는 사이드바가 존재합니다. 살펴보면 톱늬바퀴모양의 "설정" 기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설정 페이지에서 '글' 영역 찾기 설정 메뉴를 선택하면 다양한 기능들이 주어지는 페이지를 볼 수 있습니다. 스크롤을 내리면 '글'이라는 영역을 찾을 수 있습니다. 하위 메뉴에는 " 글 템플릿(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