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애드센스 블로그 운영, 외부유입을 해야만 할까.

블로그를 비롯한 웹사이트를 이용해 수익이 발생되는 구조는 단순합니다. 방문자가 발생하고, 해당 방문자에게 광고를 보여주거나, 물건 혹은 서비스를 판매하면 됩니다. 광고를 보여주는 플랫폼으로 애드센스가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애드센스로 수익이 발생되기 위해서는 많은 트래픽(방문자)가 있어야 합니다.

사이트(이하, 블로그 포함)에 트래픽이 발생하는 경우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검색 유입
  2. 외부 유입

    검색 유입이란.

    단어에서 알 수 있듯이 비교적 쉽게 의미를 유추할 수 있습니다. 검색 유입은 검색 엔진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특정 내용을 검색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사이트가 노출되며, 보여지는 사이트에 방문자가 발생해 트래픽으로 집계되는 형식입니다. 즉, 방문자의 리퍼러(Referrer)가 특정 검색엔진이 됩니다.

    장점.

    자연스러운 유입, 사용자의 목적성에 부합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체류 시간을 보일 수 있습니다. 물론,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페이지에는 양질의 포스팅이 준비되어 있어야 합니다.

    단점.

    검색 엔진에 자연스럽게 노출되는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걸리며, 수 많은 경쟁자를 제치고 노출 순위를 올리는 것이 쉽지는 않습니다.

    외부 유입이란.

    일반적인 검색 유입과는 다르게 외부 유입은 검색 엔진이 아닌 직접 링크를 통해 유입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대표적으로 카카오톡, 페이스북 등의 SNS가 있습니다. 또는 별도의 사이트를 운영하여 해당 사이트에서 링크를 통해 유입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방문자의 리퍼러는 링크가 존재한 페이지가 되겠죠.

    장점.

    동일한 관심사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모여있는 곳에 주로 링크를 전하게 됩니다. 따라서, 순간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해당 포스팅을 보게 될 수 있습니다.

    단점.

    사이트 운영의 핵심은 양질의 콘텐츠이기도 합니다. 외부 유입을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노력과 시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높은 트래픽을 높이는 외부유입 꼭 필요할까.

    사이트를 운영하는 초기에는 호기롭게 콘텐츠를 생산하게 됩니다. 대략 100개 정도 까지는 키워드도 찾아 두고 열심히 작성하게 됩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처음과 같은 열정이 줄게 되겠죠. 그럼, 하나의 짧은 포스팅을 작성하는 것도 어렵고 귀찮게 여겨질 수 있습니다.

    양질의 포스팅을 SEO에 잘 맞춰 작성하는 것으로 검색 유입을 기다리게 됩니다. 구글, 네이버, 다음, 빙 등의 검색 엔진에서 자신의 포스팅이 노출 될 수 있기를 바라게 됩니다. 하지만, 그렇게 호락호락하진 않습니다.

    결국, 높은 트래픽을 만들기 위해 '외부 유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마저도 그렇게 쉽지만은 않습니다. 여러 SNS,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외부 유입을 시도하고 성공적인 결과를 얻은 사례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노력과 노하우가 필요한 부분입니다.

    하지만, 조심할 부분이 있습니다. 외부 유입으로 들어오는 사람들은 구체적인 목적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목적성이란 자신이 궁금해 하는 부분을 시원하게 해소해 줄 것이라는 것이죠.

    만약 빈약한 내용이라면 어떻게 할까요. 짧은 시간 체류한 후 뒤로가기를 선택하게 될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짧은 체류 시간이라는 것이죠.

    애드센스는 기본적으로 포스팅(페이지)에 대한 평가를 하게 됩니다. 체류 시간, 문맥등 다양한 요소를 파악하고 판단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에 적합한 광고를 노출 시키며 데이터가 쌓이게 됩니다.

    만약, 방문자의 체류 시간이 짧다면 어떤 평가를 내릴 수 있을까요. 아마도, 품질에서 나쁜 점수를 받을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좋은 내용이 가득한 페이지라면 결코 체류시간이 짧아지지 않을 수 있겠죠.

    애드센스 시스템에는 품질이 낮은 페이지에 단가가 낮은 광고를 노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결국, 우리가 원하는 수익을 얻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이야기가 되겠죠. 무분별한 외부유입은 높은 트래픽을 발생시킬 수 있지만, 그렇다고 높은 수익을 보장하는 방법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결국 우리가 해야하는 것은 양질의 포스팅을 이어가는 것이며, SNS와 같은 외부 유입은 자연스럽게 이루어져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애드센스 보고서 보는 방법(날짜별, 일별)

    애드센스를 운영하다보면 차트를 수시로 보게 됩니다. 수익이 많이 잡히는 것이 아니어도, 단 1클릭만 발생하면 체크하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많은 경험이 있는 사람들은 '그 시간에 1개의 포스팅을 해라'라는 이야기를 하기도 합니다. 너무나 좋은 이야기임에 분명하지만, 사람의 마음이 또 그렇지 않습니다. 오늘은 얼마의 수익이 발생했는지 확인하고 싶어지기 때문이죠. 애드센스 홈페이지에 방문한 후, '보고서'를 통해 수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고서는 기본적으로 '지난 7일'을 기준으로 합니다. 전체 수익을 보여주게 되는데요. 전체적인 통계를 보는 방법으로 괜찮습니다. 하지만, 하루 수익을 보기 위해서는 별도의 설정이 필요합니다. 수익이 발생하여 기쁜 마음과 궁금증으로 애드센스를 보기도 하지만, 분석을 위해서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7일을 기준으로 보고서를 보는 경우 수익변화를 분석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자주 이용하는 방법은 일별 수익 변화이기 때문이죠. 이번에는 애드센스 보고서 설정을 통해 수익 변화를 살펴보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Contents 애드센스 보고서 보는 방법 가장 먼저 애드센스 보고서 보는 방법을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애드센스 메인 홈페이지에 접속하도록 합니다. 기본적으로 왼쪽 바이드바에는 여러 기능이 있습니다. 만약, 사이드바에서 아이콘만 보인다면 상단에 있는 햄버거 버튼(가로줄 세개)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위 사진을 참고하면 됩니다. 스크롤을 내리면 '보고서' 라는 메뉴를 찾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본격적으로 '오늘', '지난 7일', '최근 30일', '이번달', '지난달', '맞춤 설정' 등을 진행하여 보고서 양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애드센스 보고서 설정하기 보고서 페이지 상단에 있는 기본 설정 탭을 이용합니다. ● 오늘 가장 먼저 활용할 방법은 '오늘...

    구글 블로거 파비콘 넣는 방법(파비콘 쉽게 만들기)

    웹사이트는 다양한 요소를 기준으로 SEO 점수를 측정합니다. 일부 스팸 사이트의 경우, 세밀한 설정을 생략한 후 다량으로 생성되는 콘텐츠만 이용하기도 하죠. 사이트를 상징할 수 있는 것으로 대표되는 것은 파비콘, 로고, 도메인이 있습니다. 구글 블로거에서 파비콘을 넣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또한, 보다 쉽게 파비콘을 만드는 방법도 살펴봅니다. Contents 구글 블로거 파피콘 등록하는 방법 ① 블로거 설정 메뉴 구글 블로거에는 다양한 기본 설정을 조절할 수 있는 메뉴가 있습니다. 여기서 파비콘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② 파비콘 등록하기 설정에 있는 파비콘 메뉴를 선택합니다. 새로운 창이 뜨면서 파비콘을 등록할 수 있는 페이지를 볼 수 있습니다. ③ 파일 선택 및 저장 준비된 파비콘 이미지를 '파일 선택' 기능을 이용해 선택합니다. 페이지에 파비콘이 등록되는 모습이 보인다면 '저장' 버튼을 이용해 서버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파비콘 설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블로그에 파비콘이 나타나지 않는 것은 설정이 적용되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입니다. 1일~2일 정도 기다리면 적용된 파비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그보다 짧은 시간에 적용된 모습을 볼 수도 있습니다. 파비콘 쉽게 만들기 파비콘은 웹사이트 탭에서 볼 수 있는 작은 아이콘을 의미합니다. 해당 파일은 '.ico' 확장자로 이루어진 파일을 사용해야 합니다. 원하는 아이콘 파일 혹은 이미지 파일을 준비한 후, ico파일로 변환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1. 아이콘 혹은 이미지 파일 준비하기 이미지 편집 혹은 만들기가 쉽지 않게 느껴진다면 '무료 아이콘'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구글 검색에서 '무료 아이콘'이라고 검색하면 수많은 사이트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그 중 하나를 살펴보도록 합니다. 👉 flaticon.com 해당 사이트는 무료 벡터 아이콘 및 스티커를 공유하는 사이트입니다. 여기서 사용자가 ...

    구글 블로그 소제목 꾸미기(ft.블로그 템플릿 설정)

    이미 티스토리, 네이버 블로그에 익숙한 사람들에게 구글 블로그는 참 불편한 서비스임에 분명합니다. 다양한 편의 기능들이 없기 때문이죠. 그나마 워드프레스는 조금 수월하기는 합니다. 그럼에도 구글 블로그를 이용하려는 사람들이 국내에서도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저도 그렇구요. 불편하면 고치면 됩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티스토리 블로그와 같은 소제목 스타일을 구글 블로그에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구글 블로그 소제목 설정 티스토리, 워드프레스에는 css를 편집할 수 있는 툴이 존재합니다. 구글 블로그에도 분명 이런 기능이 있습니다. 다만, css를 추가 혹은 편집한 결과를 보는 방법이 익숙하지 않기도 합니다. 티스토리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되는 글 형식을 미리 불러오는 방법으로 '서식'을 이용하게 됩니다. 구글 블로그에도 티스토리 블로그의 '서식'과 비슷한 기능이 있습니다. 설정에서 찾을 수 있는데요. 바로 " 글 템플릿 "입니다. 글 템플릿이란, 새 글을 작성할 때 미리 설정한 템플릿(서식)을 불러오게 됩니다. 이렇게 불러온 서식에 원하는 글을 작성하는 방법입니다. 글 템플릿 설정 방법 이제 본격적으로 구글 블로그의 글 템플릿 설정 방법을 알아보도록 합니다. 구글 블로그 '설정'에서 '글' 메뉴를 찾으면 됩니다. 구글 블로그 설정 > 글 > 글 템플릿 지정 1. 구글 블로그 설정 구글 블로그에 접속하면 기본적으로 사용자 관리 페이지로 보여지게 됩니다. 처음에는 이 심플한 모습이 낯설기만 하죠. 왼쪽에는 다양한 기능들이 모여있는 사이드바가 존재합니다. 살펴보면 톱늬바퀴모양의 "설정" 기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설정 페이지에서 '글' 영역 찾기 설정 메뉴를 선택하면 다양한 기능들이 주어지는 페이지를 볼 수 있습니다. 스크롤을 내리면 '글'이라는 영역을 찾을 수 있습니다. 하위 메뉴에는 " 글 템플릿(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