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국내 애드센스 관련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커뮤니티 사이트 3가지

애드센스를 운영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자신만의 웹사이트를 만들고, 구글 애드센스 광고를 넣을 수 있도록 승인을 받으면 됩니다. '애드고시'라는 말이 등장한 만큼 그렇게 쉽지는 않지만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다만, 콘텐츠를 만드는 과정이 지루하고 귀찮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옆에 누군가 있다면 동기부여가 될 수 있는데요. 애드센스에 관련된 유익한 정보와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국내 커뮤니티 사이트 3가지를 알아봅니다.

    애드센스 관련 커뮤니티 3개

    1️⃣ 애드센스 포럼 (바로가기)

    '애드센스 포럼'은 국내 커뮤니티 사이트로 애드센스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고, 사람들과 의견을 주고 받을 수 있는 곳입니다. 애드센스를 전업으로 진행하는 경우, 외로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타인과 정보를 주고 받는 과정에서 힘을 얻고, 발전할 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구글 애드센스로 수익이 발생하는 것으로 웹사이트(블로그 포함)와 유튜브가 있습니다. 해당 커뮤니티에서는 블로그 / 유튜브 / 세금 / 기타 정보에 관련된 내용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2️⃣ 디시인사이드 티스토리, 구글 블로그, 워드프레스 갤러리 (바로가기)

    디시인사이드(dcinside.com)은 국내에서 Top이라 할 수 있는 커뮤니티 사이트입니다. 해당 사이트에는 다양한 갤러리가 존재합니다. 갤러리란 특정 주제에 맞는 게시판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이 갤러리 중 티스토리, 구글 블로그, 워드프레스 갤러리가 있습니다.


    티스토리 / 블로그 스팟 / 워드프레스는 국내에서 이용하는 블로그 플랫폼으로 유명한 방법이기도 합니다. 자신의 사이트를 개설하고 애드센스 승인을 받으면, 광고를 게재할 수 있습니다.


    3️⃣ 수익늘리기 네이버 카페 (바로가기)

    이제 막 운영되기 시작한 카페이기도 합니다. 같이 활동하면 외로운 애드센스 활동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 구글 블로그 / 티스토리 / 코딩 및 여러 수익 방법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있으며, 자신의 수익과 사이트(블로그 포함)을 홍보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조금씩 성장하면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구요. 기존에 있는 다른 카페와는 다르게 순수하게 정보만을 공유한다는 점이 장점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마치며.

    애드센스는 매력적인 수익 방법(도구)라 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콘텐츠를 생산하는 결과로 자신들의 수익이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쉽지는 않습니다. 원하는 수익을 얻고,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그 만큼의 노력과 정보가 필요하게 됩니다. 여러 사람들과 의견을 나누는 과정에서 정보와 경험을 얻을 수 있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애드센스 보고서 보는 방법(날짜별, 일별)

    애드센스를 운영하다보면 차트를 수시로 보게 됩니다. 수익이 많이 잡히는 것이 아니어도, 단 1클릭만 발생하면 체크하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많은 경험이 있는 사람들은 '그 시간에 1개의 포스팅을 해라'라는 이야기를 하기도 합니다. 너무나 좋은 이야기임에 분명하지만, 사람의 마음이 또 그렇지 않습니다. 오늘은 얼마의 수익이 발생했는지 확인하고 싶어지기 때문이죠. 애드센스 홈페이지에 방문한 후, '보고서'를 통해 수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고서는 기본적으로 '지난 7일'을 기준으로 합니다. 전체 수익을 보여주게 되는데요. 전체적인 통계를 보는 방법으로 괜찮습니다. 하지만, 하루 수익을 보기 위해서는 별도의 설정이 필요합니다. 수익이 발생하여 기쁜 마음과 궁금증으로 애드센스를 보기도 하지만, 분석을 위해서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7일을 기준으로 보고서를 보는 경우 수익변화를 분석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자주 이용하는 방법은 일별 수익 변화이기 때문이죠. 이번에는 애드센스 보고서 설정을 통해 수익 변화를 살펴보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Contents 애드센스 보고서 보는 방법 가장 먼저 애드센스 보고서 보는 방법을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애드센스 메인 홈페이지에 접속하도록 합니다. 기본적으로 왼쪽 바이드바에는 여러 기능이 있습니다. 만약, 사이드바에서 아이콘만 보인다면 상단에 있는 햄버거 버튼(가로줄 세개)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위 사진을 참고하면 됩니다. 스크롤을 내리면 '보고서' 라는 메뉴를 찾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본격적으로 '오늘', '지난 7일', '최근 30일', '이번달', '지난달', '맞춤 설정' 등을 진행하여 보고서 양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애드센스 보고서 설정하기 보고서 페이지 상단에 있는 기본 설정 탭을 이용합니다. ● 오늘 가장 먼저 활용할 방법은 '오늘...

    구글 블로거 파비콘 넣는 방법(파비콘 쉽게 만들기)

    웹사이트는 다양한 요소를 기준으로 SEO 점수를 측정합니다. 일부 스팸 사이트의 경우, 세밀한 설정을 생략한 후 다량으로 생성되는 콘텐츠만 이용하기도 하죠. 사이트를 상징할 수 있는 것으로 대표되는 것은 파비콘, 로고, 도메인이 있습니다. 구글 블로거에서 파비콘을 넣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또한, 보다 쉽게 파비콘을 만드는 방법도 살펴봅니다. Contents 구글 블로거 파피콘 등록하는 방법 ① 블로거 설정 메뉴 구글 블로거에는 다양한 기본 설정을 조절할 수 있는 메뉴가 있습니다. 여기서 파비콘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② 파비콘 등록하기 설정에 있는 파비콘 메뉴를 선택합니다. 새로운 창이 뜨면서 파비콘을 등록할 수 있는 페이지를 볼 수 있습니다. ③ 파일 선택 및 저장 준비된 파비콘 이미지를 '파일 선택' 기능을 이용해 선택합니다. 페이지에 파비콘이 등록되는 모습이 보인다면 '저장' 버튼을 이용해 서버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파비콘 설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블로그에 파비콘이 나타나지 않는 것은 설정이 적용되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입니다. 1일~2일 정도 기다리면 적용된 파비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그보다 짧은 시간에 적용된 모습을 볼 수도 있습니다. 파비콘 쉽게 만들기 파비콘은 웹사이트 탭에서 볼 수 있는 작은 아이콘을 의미합니다. 해당 파일은 '.ico' 확장자로 이루어진 파일을 사용해야 합니다. 원하는 아이콘 파일 혹은 이미지 파일을 준비한 후, ico파일로 변환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1. 아이콘 혹은 이미지 파일 준비하기 이미지 편집 혹은 만들기가 쉽지 않게 느껴진다면 '무료 아이콘'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구글 검색에서 '무료 아이콘'이라고 검색하면 수많은 사이트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그 중 하나를 살펴보도록 합니다. 👉 flaticon.com 해당 사이트는 무료 벡터 아이콘 및 스티커를 공유하는 사이트입니다. 여기서 사용자가 ...

    구글 블로그 소제목 꾸미기(ft.블로그 템플릿 설정)

    이미 티스토리, 네이버 블로그에 익숙한 사람들에게 구글 블로그는 참 불편한 서비스임에 분명합니다. 다양한 편의 기능들이 없기 때문이죠. 그나마 워드프레스는 조금 수월하기는 합니다. 그럼에도 구글 블로그를 이용하려는 사람들이 국내에서도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저도 그렇구요. 불편하면 고치면 됩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티스토리 블로그와 같은 소제목 스타일을 구글 블로그에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구글 블로그 소제목 설정 티스토리, 워드프레스에는 css를 편집할 수 있는 툴이 존재합니다. 구글 블로그에도 분명 이런 기능이 있습니다. 다만, css를 추가 혹은 편집한 결과를 보는 방법이 익숙하지 않기도 합니다. 티스토리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되는 글 형식을 미리 불러오는 방법으로 '서식'을 이용하게 됩니다. 구글 블로그에도 티스토리 블로그의 '서식'과 비슷한 기능이 있습니다. 설정에서 찾을 수 있는데요. 바로 " 글 템플릿 "입니다. 글 템플릿이란, 새 글을 작성할 때 미리 설정한 템플릿(서식)을 불러오게 됩니다. 이렇게 불러온 서식에 원하는 글을 작성하는 방법입니다. 글 템플릿 설정 방법 이제 본격적으로 구글 블로그의 글 템플릿 설정 방법을 알아보도록 합니다. 구글 블로그 '설정'에서 '글' 메뉴를 찾으면 됩니다. 구글 블로그 설정 > 글 > 글 템플릿 지정 1. 구글 블로그 설정 구글 블로그에 접속하면 기본적으로 사용자 관리 페이지로 보여지게 됩니다. 처음에는 이 심플한 모습이 낯설기만 하죠. 왼쪽에는 다양한 기능들이 모여있는 사이드바가 존재합니다. 살펴보면 톱늬바퀴모양의 "설정" 기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설정 페이지에서 '글' 영역 찾기 설정 메뉴를 선택하면 다양한 기능들이 주어지는 페이지를 볼 수 있습니다. 스크롤을 내리면 '글'이라는 영역을 찾을 수 있습니다. 하위 메뉴에는 " 글 템플릿(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