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IP 위치 추적 하는 방법 2가지.

우리가 인터넷을 사용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개인이 사용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해 웹서버에 접속하면 됩니다. 흔히 사용하는 검색 엔진도 웹서버에서 구동되는 사이트입니다.

이렇게 서버를 이동하며 접속하기 위해서는 고유 주소를 필요로 하게 됩니다. 개인 혹은 업체에 인터넷을 제공하는 것도 고유 주소를 기준으로 연결하게 됩니다. 여기서 사용되는 고유 주소가 바로 IP address(ip 주소)가 됩니다.

일반적으로 ip4 주소를 이용하게 되는데요. 255.255.255.255와 같은 형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 마저도 전 세계 많은 인구가 사용하고 있어 한계치에 도달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며,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다고 하네요.

정리 하면, 가 인터넷을 사용하는 회신은 고유한 주소를 보이고 있으며, 해당 주소를 이용해 대략적인 위치를 알아볼 수 있다는 것이죠.

    IP 주소 위치 추적 하는 방법 2가지

    고유한 ip 주소를 이용해 접속한 위치를 파악하는 정보를 얻는 방법은 다양하게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해당 기능을 제공하는 사이트도 많이 있습니다. 살펴보면 대표적인 사이트에서 api를 제공 받아 만들어진 기능들도 있습니다.

    1️⃣ WHOIS 조회 방법

    후이즈(WHOIS) 조회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방법으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네이버 IP라 알려진 "125.209.222.141"을 가지고 조회를 진행해 봅니다. WHOIS 홈페이지를 이용하도록 합니다.

    위 사진과 같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한국어로 된 정보와 영어로 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IPv4주소, 기관명, 서비스명, 주소, 우편번호, 할당일자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2️⃣ IP 위치 추적 기능을 제공하는 사이트 이용

    ⓐ IP 위치 추적

    해당 페이지는 IP 위치 추적을 간편하게 제공하는 페이지 입니다. 원하는 ip 주소를 사진과 같이 입력한 후, '추적'버튼을 클릭하면 빠르게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위치, 우편번호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mylocation

    에서 확인한 것과 비슷한 기능으로 별도의 페이지를 만들어 제공하는 모습입니다. 접속한 외부아이피 주소를 확인할 수도 있으며, 지도를 이용해 정보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마치며.

    ip 주소의 위치를 확인하는 이유는 다양할 수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무효클릭과 같은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하진 않지만, 범죄 수사에서 사용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그만큼 ip 주소는 특별하고 고유한 성질을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만약, ip 주소 위치 추적이 필요하다면 본문에 있는 내용을 참고하여 활용하시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애드센스 보고서 보는 방법(날짜별, 일별)

    애드센스를 운영하다보면 차트를 수시로 보게 됩니다. 수익이 많이 잡히는 것이 아니어도, 단 1클릭만 발생하면 체크하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많은 경험이 있는 사람들은 '그 시간에 1개의 포스팅을 해라'라는 이야기를 하기도 합니다. 너무나 좋은 이야기임에 분명하지만, 사람의 마음이 또 그렇지 않습니다. 오늘은 얼마의 수익이 발생했는지 확인하고 싶어지기 때문이죠. 애드센스 홈페이지에 방문한 후, '보고서'를 통해 수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고서는 기본적으로 '지난 7일'을 기준으로 합니다. 전체 수익을 보여주게 되는데요. 전체적인 통계를 보는 방법으로 괜찮습니다. 하지만, 하루 수익을 보기 위해서는 별도의 설정이 필요합니다. 수익이 발생하여 기쁜 마음과 궁금증으로 애드센스를 보기도 하지만, 분석을 위해서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7일을 기준으로 보고서를 보는 경우 수익변화를 분석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자주 이용하는 방법은 일별 수익 변화이기 때문이죠. 이번에는 애드센스 보고서 설정을 통해 수익 변화를 살펴보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Contents 애드센스 보고서 보는 방법 가장 먼저 애드센스 보고서 보는 방법을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애드센스 메인 홈페이지에 접속하도록 합니다. 기본적으로 왼쪽 바이드바에는 여러 기능이 있습니다. 만약, 사이드바에서 아이콘만 보인다면 상단에 있는 햄버거 버튼(가로줄 세개)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위 사진을 참고하면 됩니다. 스크롤을 내리면 '보고서' 라는 메뉴를 찾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본격적으로 '오늘', '지난 7일', '최근 30일', '이번달', '지난달', '맞춤 설정' 등을 진행하여 보고서 양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애드센스 보고서 설정하기 보고서 페이지 상단에 있는 기본 설정 탭을 이용합니다. ● 오늘 가장 먼저 활용할 방법은 '오늘...

    구글 블로거 파비콘 넣는 방법(파비콘 쉽게 만들기)

    웹사이트는 다양한 요소를 기준으로 SEO 점수를 측정합니다. 일부 스팸 사이트의 경우, 세밀한 설정을 생략한 후 다량으로 생성되는 콘텐츠만 이용하기도 하죠. 사이트를 상징할 수 있는 것으로 대표되는 것은 파비콘, 로고, 도메인이 있습니다. 구글 블로거에서 파비콘을 넣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또한, 보다 쉽게 파비콘을 만드는 방법도 살펴봅니다. Contents 구글 블로거 파피콘 등록하는 방법 ① 블로거 설정 메뉴 구글 블로거에는 다양한 기본 설정을 조절할 수 있는 메뉴가 있습니다. 여기서 파비콘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② 파비콘 등록하기 설정에 있는 파비콘 메뉴를 선택합니다. 새로운 창이 뜨면서 파비콘을 등록할 수 있는 페이지를 볼 수 있습니다. ③ 파일 선택 및 저장 준비된 파비콘 이미지를 '파일 선택' 기능을 이용해 선택합니다. 페이지에 파비콘이 등록되는 모습이 보인다면 '저장' 버튼을 이용해 서버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파비콘 설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블로그에 파비콘이 나타나지 않는 것은 설정이 적용되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입니다. 1일~2일 정도 기다리면 적용된 파비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그보다 짧은 시간에 적용된 모습을 볼 수도 있습니다. 파비콘 쉽게 만들기 파비콘은 웹사이트 탭에서 볼 수 있는 작은 아이콘을 의미합니다. 해당 파일은 '.ico' 확장자로 이루어진 파일을 사용해야 합니다. 원하는 아이콘 파일 혹은 이미지 파일을 준비한 후, ico파일로 변환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1. 아이콘 혹은 이미지 파일 준비하기 이미지 편집 혹은 만들기가 쉽지 않게 느껴진다면 '무료 아이콘'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구글 검색에서 '무료 아이콘'이라고 검색하면 수많은 사이트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그 중 하나를 살펴보도록 합니다. 👉 flaticon.com 해당 사이트는 무료 벡터 아이콘 및 스티커를 공유하는 사이트입니다. 여기서 사용자가 ...

    구글 블로그 소제목 꾸미기(ft.블로그 템플릿 설정)

    이미 티스토리, 네이버 블로그에 익숙한 사람들에게 구글 블로그는 참 불편한 서비스임에 분명합니다. 다양한 편의 기능들이 없기 때문이죠. 그나마 워드프레스는 조금 수월하기는 합니다. 그럼에도 구글 블로그를 이용하려는 사람들이 국내에서도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저도 그렇구요. 불편하면 고치면 됩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티스토리 블로그와 같은 소제목 스타일을 구글 블로그에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구글 블로그 소제목 설정 티스토리, 워드프레스에는 css를 편집할 수 있는 툴이 존재합니다. 구글 블로그에도 분명 이런 기능이 있습니다. 다만, css를 추가 혹은 편집한 결과를 보는 방법이 익숙하지 않기도 합니다. 티스토리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되는 글 형식을 미리 불러오는 방법으로 '서식'을 이용하게 됩니다. 구글 블로그에도 티스토리 블로그의 '서식'과 비슷한 기능이 있습니다. 설정에서 찾을 수 있는데요. 바로 " 글 템플릿 "입니다. 글 템플릿이란, 새 글을 작성할 때 미리 설정한 템플릿(서식)을 불러오게 됩니다. 이렇게 불러온 서식에 원하는 글을 작성하는 방법입니다. 글 템플릿 설정 방법 이제 본격적으로 구글 블로그의 글 템플릿 설정 방법을 알아보도록 합니다. 구글 블로그 '설정'에서 '글' 메뉴를 찾으면 됩니다. 구글 블로그 설정 > 글 > 글 템플릿 지정 1. 구글 블로그 설정 구글 블로그에 접속하면 기본적으로 사용자 관리 페이지로 보여지게 됩니다. 처음에는 이 심플한 모습이 낯설기만 하죠. 왼쪽에는 다양한 기능들이 모여있는 사이드바가 존재합니다. 살펴보면 톱늬바퀴모양의 "설정" 기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설정 페이지에서 '글' 영역 찾기 설정 메뉴를 선택하면 다양한 기능들이 주어지는 페이지를 볼 수 있습니다. 스크롤을 내리면 '글'이라는 영역을 찾을 수 있습니다. 하위 메뉴에는 " 글 템플릿(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