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애드센스 주제 카테고리별 예상 수익 파악하는 방법

인터넷을 이용해 수익을 만드는 방법은 다양하게 있습니다. 그 중에서 대표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으로 구글 애드센스(adsense)가 있습니다. 일정한 조건을 충족하면, 자신이 운영하는 사이트에 애드센스 광고를 넣을 수 있습니다.

전문적인 주제가 있는 경우라면 카테고리(주제)에 큰 고민이 없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수익을 목적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 어떤 주제를 선택할지 고민이 되기도 합니다.

처음에는 정보를 찾아보고, 정리하고 콘텐츠를 작성하게 됩니다. 결국, 많은 시간이 걸리고 지쳐가게 됩니다. 수익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방향성도 중요하게 됩니다. 따라서, 애드센스에서 알려주는 수익성이 좋은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애드센스 카테고리별 수익 파악하기

    애드센스 홈페이지에서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인 애드센스 시작부터 효과등에 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미 전세계의 2백만 게시자가 애드센스를 선택했다고 알립니다.

    스크롤을 내려보면 '수익 증대'라고 적혀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애드센스로 얼마나 많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을지 알아보세요'라는 문구와 함께 말이죠. 지역 선택 / 카테고리 선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 사진과 같이 보여지게 됩니다. 여기서 원하는 지역 및 카테고리를 선택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타켓으로 잡은 지역과 주제를 선택한 후, 페이지뷰에 따른 수익을 예측해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시아 지역에서 건강에 관련된 주제로 사이트를 운영한 경우의 수익은 어떻게 될까요.


    예상 연수익은 9,462달러라고 되어 있습니다. 대략 1,000만원이 넘는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월별 페이지 조회수를 기본으로 합니다. 위 수치는 월별 페이지 조회수 50,000을 기준으로 합니다. 만약, 100,000 페이지 조회수라면, 2배에 가까운 수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애드센스 수익이 가장 높은 카테고리

    카테고리를 바꿔가며 예상 연수익을 파악해 봅니다.

    🔆 아시아 / 건강

    아시아 지역, 건강 카테고리의 예상 연수익은 9,462달러입니다.

    🔆 아시아 / 게임

    아시아 지역, 게임 카테고리의 예상 연수익은 3,480달러입니다.

    🔆아시아 / 과학

    아시아 지역, 과학 카테고리의 예상 연수익은 4,002달러입니다.

    🔆아시아 / 금융

    아시아 지역, 금융 카테고리의 예상 연수익은 15,012달러입니다.

    🔆아시아 / 뉴스

    아시아 지역, 뉴스 카테고리의 예상 연수익은 2,010달러입니다.

    🔆아시아 / 도서 및 문학

    아시아 지역, 도서 및 문학 카테고리의 예상 연수익은 1,296달러입니다.

    🔆아시아 / 미용, 피트니스

    아시아 자역, 미용,피트니스 카테고리의 예상 연수익은 9,390달러입니다.

    🔆아시아 / 부동산

    아시아 지역, 부동산 카테고리의 예상 연수익은 10,002달러입니다.

    🔆아시아 / 사법 및 정부 기관

    아시아 지역, 사법 및 정부 기관 카테고리의 예상 연수익은 6,192달러입니다.

    🔆아시아 / 사업, 산업

    아시아 지역, 사업, 산업 카테고리의 예상 연수익은 8,718달러입니다.

    🔆아시아 / 쇼핑

    아시아 지역, 쇼핑 카테고리의 예상 연수익은 8,124달러입니다.

    🔆아시아 / 스포츠

    아시아 지역, 스포츠 카테고리의 예상 연수익은 4,260달러입니다.

    🔆아시아 / 식음료

    아시아 지역, 식음료 카테고리의 예상 연수익은 7,044달러입니다.

    🔆아시아 / 애완동물 및 동물

    아시아 지역, 애완동물 및 동물 카테고리의 예상 연수익은 6,690달러입니다.

    🔆아시아 / 여행

    아시아 지역, 여행 카테고리의 예상 연수익은 5,820달러입니다.

    🔆아시아 / 예술, 엔터테인먼트

    아시아 지역, 예술, 엔터테인먼트 카테고리의 예상 연수익은 3,480달러입니다.

    🔆아시아 / 온라인 커뮤니티

    아시아 지역, 온라인 커뮤니티 카테고리의 예상 연수익은 4,734달러입니다.


    🔆아시아 / 인물, 사회

    아시아 지역, 인물, 사회 카테고리의 예상 연수익은 4,122달러입니다.


    🔆아시아 / 인터넷, 통신

    아시아 지역, 인터넷, 통신 카테고리의 예상 연수익은 6,738달러입니다.


    🔆아시아 / 인테리어 및 조경

    아시아 지역, 인테리어 및 조경 카테고리의 예상 연수익은 11,028달러입니다.


    🔆아시아 / 자동차

    아시아 지역, 자동차 카테고리의 예상 연수익은 6,378달러입니다.


    🔆아시아 / 참고자료

    아시아 지역, 참고자료 카테고리의 예상 연수익은 6,840달러입니다.


    🔆아시아 / 취미, 레저

    아시아 지역, 취미, 레저 카테고리의 예상 연수익은 6,324달러입니다.


    🔆아시아 / 취업, 교육

    아시아 지역, 취업, 교육 카테고리의 예상 연수익은 4,272달러입니다.


    🔆아시아 / 컴퓨터 및 전자제품


    아시아 지역, 컴퓨터 및 전자제품 카테고리의 예상 연수익은 6,336달러입니다.

    마치며.

    위 자료는 월별 조회수 50,000회를 기준으로 산정된 결과입니다. 애드센스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워별 조회수를 조절하여 예상 연수익을 예측해 볼 수 있습니다. 예상 연수익이 높은 순서로 top3을 뽑으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금융
    2. 인테리어 및 조경
    3. 부동산

    수익을 목적으로 사이트를 운영한다면 위 카테고리 중 최소 1개는 가져갈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물론, 다양한 요소가 있겠지만 우선 주제를 선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애드센스 보고서 보는 방법(날짜별, 일별)

    애드센스를 운영하다보면 차트를 수시로 보게 됩니다. 수익이 많이 잡히는 것이 아니어도, 단 1클릭만 발생하면 체크하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많은 경험이 있는 사람들은 '그 시간에 1개의 포스팅을 해라'라는 이야기를 하기도 합니다. 너무나 좋은 이야기임에 분명하지만, 사람의 마음이 또 그렇지 않습니다. 오늘은 얼마의 수익이 발생했는지 확인하고 싶어지기 때문이죠. 애드센스 홈페이지에 방문한 후, '보고서'를 통해 수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고서는 기본적으로 '지난 7일'을 기준으로 합니다. 전체 수익을 보여주게 되는데요. 전체적인 통계를 보는 방법으로 괜찮습니다. 하지만, 하루 수익을 보기 위해서는 별도의 설정이 필요합니다. 수익이 발생하여 기쁜 마음과 궁금증으로 애드센스를 보기도 하지만, 분석을 위해서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7일을 기준으로 보고서를 보는 경우 수익변화를 분석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자주 이용하는 방법은 일별 수익 변화이기 때문이죠. 이번에는 애드센스 보고서 설정을 통해 수익 변화를 살펴보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Contents 애드센스 보고서 보는 방법 가장 먼저 애드센스 보고서 보는 방법을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애드센스 메인 홈페이지에 접속하도록 합니다. 기본적으로 왼쪽 바이드바에는 여러 기능이 있습니다. 만약, 사이드바에서 아이콘만 보인다면 상단에 있는 햄버거 버튼(가로줄 세개)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위 사진을 참고하면 됩니다. 스크롤을 내리면 '보고서' 라는 메뉴를 찾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본격적으로 '오늘', '지난 7일', '최근 30일', '이번달', '지난달', '맞춤 설정' 등을 진행하여 보고서 양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애드센스 보고서 설정하기 보고서 페이지 상단에 있는 기본 설정 탭을 이용합니다. ● 오늘 가장 먼저 활용할 방법은 '오늘...

    구글 블로거 파비콘 넣는 방법(파비콘 쉽게 만들기)

    웹사이트는 다양한 요소를 기준으로 SEO 점수를 측정합니다. 일부 스팸 사이트의 경우, 세밀한 설정을 생략한 후 다량으로 생성되는 콘텐츠만 이용하기도 하죠. 사이트를 상징할 수 있는 것으로 대표되는 것은 파비콘, 로고, 도메인이 있습니다. 구글 블로거에서 파비콘을 넣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또한, 보다 쉽게 파비콘을 만드는 방법도 살펴봅니다. Contents 구글 블로거 파피콘 등록하는 방법 ① 블로거 설정 메뉴 구글 블로거에는 다양한 기본 설정을 조절할 수 있는 메뉴가 있습니다. 여기서 파비콘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② 파비콘 등록하기 설정에 있는 파비콘 메뉴를 선택합니다. 새로운 창이 뜨면서 파비콘을 등록할 수 있는 페이지를 볼 수 있습니다. ③ 파일 선택 및 저장 준비된 파비콘 이미지를 '파일 선택' 기능을 이용해 선택합니다. 페이지에 파비콘이 등록되는 모습이 보인다면 '저장' 버튼을 이용해 서버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파비콘 설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블로그에 파비콘이 나타나지 않는 것은 설정이 적용되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입니다. 1일~2일 정도 기다리면 적용된 파비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그보다 짧은 시간에 적용된 모습을 볼 수도 있습니다. 파비콘 쉽게 만들기 파비콘은 웹사이트 탭에서 볼 수 있는 작은 아이콘을 의미합니다. 해당 파일은 '.ico' 확장자로 이루어진 파일을 사용해야 합니다. 원하는 아이콘 파일 혹은 이미지 파일을 준비한 후, ico파일로 변환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1. 아이콘 혹은 이미지 파일 준비하기 이미지 편집 혹은 만들기가 쉽지 않게 느껴진다면 '무료 아이콘'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구글 검색에서 '무료 아이콘'이라고 검색하면 수많은 사이트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그 중 하나를 살펴보도록 합니다. 👉 flaticon.com 해당 사이트는 무료 벡터 아이콘 및 스티커를 공유하는 사이트입니다. 여기서 사용자가 ...

    구글 블로그 소제목 꾸미기(ft.블로그 템플릿 설정)

    이미 티스토리, 네이버 블로그에 익숙한 사람들에게 구글 블로그는 참 불편한 서비스임에 분명합니다. 다양한 편의 기능들이 없기 때문이죠. 그나마 워드프레스는 조금 수월하기는 합니다. 그럼에도 구글 블로그를 이용하려는 사람들이 국내에서도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저도 그렇구요. 불편하면 고치면 됩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티스토리 블로그와 같은 소제목 스타일을 구글 블로그에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구글 블로그 소제목 설정 티스토리, 워드프레스에는 css를 편집할 수 있는 툴이 존재합니다. 구글 블로그에도 분명 이런 기능이 있습니다. 다만, css를 추가 혹은 편집한 결과를 보는 방법이 익숙하지 않기도 합니다. 티스토리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되는 글 형식을 미리 불러오는 방법으로 '서식'을 이용하게 됩니다. 구글 블로그에도 티스토리 블로그의 '서식'과 비슷한 기능이 있습니다. 설정에서 찾을 수 있는데요. 바로 " 글 템플릿 "입니다. 글 템플릿이란, 새 글을 작성할 때 미리 설정한 템플릿(서식)을 불러오게 됩니다. 이렇게 불러온 서식에 원하는 글을 작성하는 방법입니다. 글 템플릿 설정 방법 이제 본격적으로 구글 블로그의 글 템플릿 설정 방법을 알아보도록 합니다. 구글 블로그 '설정'에서 '글' 메뉴를 찾으면 됩니다. 구글 블로그 설정 > 글 > 글 템플릿 지정 1. 구글 블로그 설정 구글 블로그에 접속하면 기본적으로 사용자 관리 페이지로 보여지게 됩니다. 처음에는 이 심플한 모습이 낯설기만 하죠. 왼쪽에는 다양한 기능들이 모여있는 사이드바가 존재합니다. 살펴보면 톱늬바퀴모양의 "설정" 기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설정 페이지에서 '글' 영역 찾기 설정 메뉴를 선택하면 다양한 기능들이 주어지는 페이지를 볼 수 있습니다. 스크롤을 내리면 '글'이라는 영역을 찾을 수 있습니다. 하위 메뉴에는 " 글 템플릿(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