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구글 블로그 무료 테마 추천, 테마 다운로드 파일 적용하기

블로그스팟(blogspot.com)인 구글 블로그는 기본적으로 테마가 지원됩니다. 하지만, 디자인이 마음에 들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런 경우, 커스튬한 테마를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

구글 블로그는 티스토리, 워드프레스와 같이 html, css등을 직접 편집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블로그와 가장 큰 차이점이라 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국내에서는 구글 블로그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지 않습니다. 하지만, 전 세계에서는 블로그 스팟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고 합니다. 개인 혹은 업체에서 제작한 구글 블로그의 커스튬 테마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구글 블로그 무료 테마 적용하는 방법

    다운로드한 테마를 적용하는 방법은 어렵지 않습니다. 그 전에 구글 블로그에서 지원하는 무료 테마를 살펴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구글 블로그 기본 테마 종류 및 변경하는 방법

    본문 하단에서 알아볼 무료 테마 파일을 다운로드 했다면 xml파일을 찾을 수 있습니다. 구글 블로그의 관리자 화면에서 '테마'를 선택한 후, '맞춤 설정 > 복원'의 단계를 거쳐 구글 블로그 커스튬 테마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위 사진은 구글 블로그의 커스튬 무료 테마인 "Speedy" 테마를 다운로드한 파일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 더 많은 파일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사진과 같이 xml파일을 찾아주면 됩니다.

    Speedy의 경우 'Speedy Free Version'라는 xml 파일을 이용합니다. 해당 파일을 업로드하여 무료 테마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Speedy 무료 테마를 적용한 기본 블로그 레이아웃의 모습입니다. html, css를 수정 보완하고, 테마 레이아웃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으로 자신이 원하는 블로그의 모습을 꾸밀 수 있습니다.

    ※ 본 블로그에 적용된 테마도 Pike Templates의 Speedy테마입니다.

    구글 블로그 무료 테마 

    구글 블로그에서 지원하는 테마의 종류도 다양하게 있습니다. 하지만, 원하는 디자인의 테마를 찾기 위해서는 더 다양한 테마를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무료로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테마도 있으며, 개중에는 유료로 지원하는 테마도 있습니다. 무료와 유료의 가장 큰 차이는 지원되는 기능에 있다고 합니다. 그 밖에도 개인의 능력을 활용해 커스튬 테마를 제작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Pikitemplates.com

    본 블로그에 적용된 테마인 Speedy를 제작 지원하는 사이트입니다. 해당 홈페이지에 방문하면 Grid Mag, Quick Spot등의 다양한 테마를 만날 수 있습니다. 다만, 해당 사이트는 기본적으로 유료 테마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유료 테마를 메인으로 지원하고 있지만 해당 테마 페이지에 접속하면 'Free Download'가 있습니다. 일부 제한된 기능을 활용하여 블로그 테마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테마 페이지를 보면 다음 사진과 같이 제한된 기능에 대한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gooyaabitemplates.com

    해당 사이트에서는 Responsive Templates / FreeBlogger Templates / SEO Ready Templates의 메인 메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원하는 무료 테마는 FreeBlogger Templates를 선택하면 됩니다. 다양한 테마들이 있습니다. 원하는 디자인의 테마를 선택하여 활용하면 됩니다.


    🔸btemplates.com

    BTemplates에는 4413개의 무료 블로그 테마가 준비되어 있다고 합니다. 둘러보는 것으로도 많은 시간이 걸릴 것 같은 느낌입니다. 충분히 둘러보면 도움이 될 수 있겠죠.


    🔸templatesyard.com
    다음으로 알아볼 무료 블로거 테마 사이트입니다. templatesyard입니다. ECOZ, WESPER등의 다양한 구글 블로그 테마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Live Demo의 미리보기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원하는 테마를 찾았다면 미리보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애드센스 보고서 보는 방법(날짜별, 일별)

    애드센스를 운영하다보면 차트를 수시로 보게 됩니다. 수익이 많이 잡히는 것이 아니어도, 단 1클릭만 발생하면 체크하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많은 경험이 있는 사람들은 '그 시간에 1개의 포스팅을 해라'라는 이야기를 하기도 합니다. 너무나 좋은 이야기임에 분명하지만, 사람의 마음이 또 그렇지 않습니다. 오늘은 얼마의 수익이 발생했는지 확인하고 싶어지기 때문이죠. 애드센스 홈페이지에 방문한 후, '보고서'를 통해 수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고서는 기본적으로 '지난 7일'을 기준으로 합니다. 전체 수익을 보여주게 되는데요. 전체적인 통계를 보는 방법으로 괜찮습니다. 하지만, 하루 수익을 보기 위해서는 별도의 설정이 필요합니다. 수익이 발생하여 기쁜 마음과 궁금증으로 애드센스를 보기도 하지만, 분석을 위해서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7일을 기준으로 보고서를 보는 경우 수익변화를 분석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자주 이용하는 방법은 일별 수익 변화이기 때문이죠. 이번에는 애드센스 보고서 설정을 통해 수익 변화를 살펴보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Contents 애드센스 보고서 보는 방법 가장 먼저 애드센스 보고서 보는 방법을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애드센스 메인 홈페이지에 접속하도록 합니다. 기본적으로 왼쪽 바이드바에는 여러 기능이 있습니다. 만약, 사이드바에서 아이콘만 보인다면 상단에 있는 햄버거 버튼(가로줄 세개)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위 사진을 참고하면 됩니다. 스크롤을 내리면 '보고서' 라는 메뉴를 찾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본격적으로 '오늘', '지난 7일', '최근 30일', '이번달', '지난달', '맞춤 설정' 등을 진행하여 보고서 양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애드센스 보고서 설정하기 보고서 페이지 상단에 있는 기본 설정 탭을 이용합니다. ● 오늘 가장 먼저 활용할 방법은 '오늘...

    구글 블로거 파비콘 넣는 방법(파비콘 쉽게 만들기)

    웹사이트는 다양한 요소를 기준으로 SEO 점수를 측정합니다. 일부 스팸 사이트의 경우, 세밀한 설정을 생략한 후 다량으로 생성되는 콘텐츠만 이용하기도 하죠. 사이트를 상징할 수 있는 것으로 대표되는 것은 파비콘, 로고, 도메인이 있습니다. 구글 블로거에서 파비콘을 넣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또한, 보다 쉽게 파비콘을 만드는 방법도 살펴봅니다. Contents 구글 블로거 파피콘 등록하는 방법 ① 블로거 설정 메뉴 구글 블로거에는 다양한 기본 설정을 조절할 수 있는 메뉴가 있습니다. 여기서 파비콘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② 파비콘 등록하기 설정에 있는 파비콘 메뉴를 선택합니다. 새로운 창이 뜨면서 파비콘을 등록할 수 있는 페이지를 볼 수 있습니다. ③ 파일 선택 및 저장 준비된 파비콘 이미지를 '파일 선택' 기능을 이용해 선택합니다. 페이지에 파비콘이 등록되는 모습이 보인다면 '저장' 버튼을 이용해 서버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파비콘 설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블로그에 파비콘이 나타나지 않는 것은 설정이 적용되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입니다. 1일~2일 정도 기다리면 적용된 파비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그보다 짧은 시간에 적용된 모습을 볼 수도 있습니다. 파비콘 쉽게 만들기 파비콘은 웹사이트 탭에서 볼 수 있는 작은 아이콘을 의미합니다. 해당 파일은 '.ico' 확장자로 이루어진 파일을 사용해야 합니다. 원하는 아이콘 파일 혹은 이미지 파일을 준비한 후, ico파일로 변환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1. 아이콘 혹은 이미지 파일 준비하기 이미지 편집 혹은 만들기가 쉽지 않게 느껴진다면 '무료 아이콘'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구글 검색에서 '무료 아이콘'이라고 검색하면 수많은 사이트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그 중 하나를 살펴보도록 합니다. 👉 flaticon.com 해당 사이트는 무료 벡터 아이콘 및 스티커를 공유하는 사이트입니다. 여기서 사용자가 ...

    구글 블로그 소제목 꾸미기(ft.블로그 템플릿 설정)

    이미 티스토리, 네이버 블로그에 익숙한 사람들에게 구글 블로그는 참 불편한 서비스임에 분명합니다. 다양한 편의 기능들이 없기 때문이죠. 그나마 워드프레스는 조금 수월하기는 합니다. 그럼에도 구글 블로그를 이용하려는 사람들이 국내에서도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저도 그렇구요. 불편하면 고치면 됩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티스토리 블로그와 같은 소제목 스타일을 구글 블로그에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구글 블로그 소제목 설정 티스토리, 워드프레스에는 css를 편집할 수 있는 툴이 존재합니다. 구글 블로그에도 분명 이런 기능이 있습니다. 다만, css를 추가 혹은 편집한 결과를 보는 방법이 익숙하지 않기도 합니다. 티스토리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되는 글 형식을 미리 불러오는 방법으로 '서식'을 이용하게 됩니다. 구글 블로그에도 티스토리 블로그의 '서식'과 비슷한 기능이 있습니다. 설정에서 찾을 수 있는데요. 바로 " 글 템플릿 "입니다. 글 템플릿이란, 새 글을 작성할 때 미리 설정한 템플릿(서식)을 불러오게 됩니다. 이렇게 불러온 서식에 원하는 글을 작성하는 방법입니다. 글 템플릿 설정 방법 이제 본격적으로 구글 블로그의 글 템플릿 설정 방법을 알아보도록 합니다. 구글 블로그 '설정'에서 '글' 메뉴를 찾으면 됩니다. 구글 블로그 설정 > 글 > 글 템플릿 지정 1. 구글 블로그 설정 구글 블로그에 접속하면 기본적으로 사용자 관리 페이지로 보여지게 됩니다. 처음에는 이 심플한 모습이 낯설기만 하죠. 왼쪽에는 다양한 기능들이 모여있는 사이드바가 존재합니다. 살펴보면 톱늬바퀴모양의 "설정" 기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설정 페이지에서 '글' 영역 찾기 설정 메뉴를 선택하면 다양한 기능들이 주어지는 페이지를 볼 수 있습니다. 스크롤을 내리면 '글'이라는 영역을 찾을 수 있습니다. 하위 메뉴에는 " 글 템플릿(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