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구글 블로그 카테고리 만드는 방법(라벨 이용하기)

우리가 익숙한 티스토리, 네이버, 워드프레스의 경우 기본적으로 카테고리 기능이 제공되고 있습니다. 카테고리는 포스팅을 주제별로 묶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며 사이트를 잘 파악할 수 있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다만, 구글 블로그에서는 기본적으로 카테고리 기능이 없습니다.

그럼 사용하지 못할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테마의 레이아웃 설정을 통해서 '카테고리'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구글 블로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기도 합니다. '라벨'이라는 개념을 우선 파악한 후, 카테고리를 만들어 사용하면 됩니다.

    구글 블로그 '라벨' 개념 파악하기

    블로그 혹은 사이트 콘텐츠를 생산하고 운영한다면 '태그'라는 이름을 많이 들어봤을 것입니다. 또는 SNS에서도 키워드로 된 태그를 주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런 태그는 포스팅된 콘텐츠와 관련된 키워드로 이루어지게 됩니다. 티스토리의 경우, 태그는 해당 블로그 안에서 포스팅을 분류하고 검색하는 기능으로 이용되기도 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검색 엔진에서 태그가 검색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구글 블로그에서는 태그라는 표현이 없습니다. 대신 '라벨'이라는 표현이 있습니다. 글을 작성할 때, 오른쪽 설정 메뉴 중 가장 먼저 보이는 것이 '라벨'입니다. 태그와 비슷한 개념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글을 분류하고 검색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되는 것이기도 합니다. 다시 말해, 같은 라벨이 붙어 있는 콘텐츠는 해당 라벨을 이용해 분류하여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조금은 느낌이 오나요. 우리가 사용하는 카테고리는 주제 키워드를 기준으로 콘텐츠가 분류되어 한 페이지에 보여지게 됩니다. 구글 블로그에 있는 라벨을 통해 같은 라벨로 설정된 콘텐츠를 하나의 페이지에 표시할 수 있습니다. 물론, 레이아웃의 설정을 통해서 말이죠. 

    구글 블로그 레이아웃 라벨을 이용해 카테고리 설정하는 방법

    본격적으로 구글 블로그 카테고리를 만들어 봅니다.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라벨'을 이용하게 됩니다.

    구글 블로그에서는 사이드바에 가젯 추가를 통해 기능을 넣을 수 있습니다. 미리 만들어진 기능도 있습니다. 필요한 경우, html, css, javascript를 이용해 원하는 기능을 만들어 볼 수도 있습니다.

    1. 레이아웃 가젯 추가

    구글 블로그 관리자 화면에서 '레이아웃'을 선택합니다. 오른쪽에 표시되는 레이아웃 영역들에서 '가젯 추가'를 선택합니다.


    2. 가젯 추가 목록에서 라벨 선택

    위 사진과 같이 가젯 추가 기능을 선택하면 보여지는 목록입니다. 여기서 '라벨'을 선택합니다. 라벨에 대한 개념은 글의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라벨 위젯 구성 설정하기

    가젯 추가 목록에서 라벨을 선택하면 위 사진과 같은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본격적으로 라벨 위젯에 대한 설정을 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제목, 라벨 정렬, 표시, 라벨당 글 수 표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4. 카테고리 설정

    라벨 위젯 구성의 제목에서 '카테고리' 또는 원하는 이름을 지정합니다. 정렬은 가나다순이 보기에 좋습니다. 목록 혹은 클라우드를 선택한 후, '모든 라벨 / 선택한 라벨'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모든 설정이 끝나면 위 사진과 같은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사이드바에서 카테고리 위젯 중 원하는 라벨을 선택합니다. 해당되는 라벨이 붙은 콘텐츠만 따로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치며.

    라벨을 이용해 카테고리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원하는 경우 태그로 이름을 붙여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그 밖에도 방문자에게 콘텐츠를 더 잘 알릴 수 있는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라벨의 개념과 이를 활용하는 방법을 통해 원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카테고리와 같이 말이죠.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애드센스 보고서 보는 방법(날짜별, 일별)

    애드센스를 운영하다보면 차트를 수시로 보게 됩니다. 수익이 많이 잡히는 것이 아니어도, 단 1클릭만 발생하면 체크하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많은 경험이 있는 사람들은 '그 시간에 1개의 포스팅을 해라'라는 이야기를 하기도 합니다. 너무나 좋은 이야기임에 분명하지만, 사람의 마음이 또 그렇지 않습니다. 오늘은 얼마의 수익이 발생했는지 확인하고 싶어지기 때문이죠. 애드센스 홈페이지에 방문한 후, '보고서'를 통해 수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고서는 기본적으로 '지난 7일'을 기준으로 합니다. 전체 수익을 보여주게 되는데요. 전체적인 통계를 보는 방법으로 괜찮습니다. 하지만, 하루 수익을 보기 위해서는 별도의 설정이 필요합니다. 수익이 발생하여 기쁜 마음과 궁금증으로 애드센스를 보기도 하지만, 분석을 위해서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7일을 기준으로 보고서를 보는 경우 수익변화를 분석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자주 이용하는 방법은 일별 수익 변화이기 때문이죠. 이번에는 애드센스 보고서 설정을 통해 수익 변화를 살펴보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Contents 애드센스 보고서 보는 방법 가장 먼저 애드센스 보고서 보는 방법을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애드센스 메인 홈페이지에 접속하도록 합니다. 기본적으로 왼쪽 바이드바에는 여러 기능이 있습니다. 만약, 사이드바에서 아이콘만 보인다면 상단에 있는 햄버거 버튼(가로줄 세개)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위 사진을 참고하면 됩니다. 스크롤을 내리면 '보고서' 라는 메뉴를 찾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본격적으로 '오늘', '지난 7일', '최근 30일', '이번달', '지난달', '맞춤 설정' 등을 진행하여 보고서 양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애드센스 보고서 설정하기 보고서 페이지 상단에 있는 기본 설정 탭을 이용합니다. ● 오늘 가장 먼저 활용할 방법은 '오늘...

    구글 블로거 파비콘 넣는 방법(파비콘 쉽게 만들기)

    웹사이트는 다양한 요소를 기준으로 SEO 점수를 측정합니다. 일부 스팸 사이트의 경우, 세밀한 설정을 생략한 후 다량으로 생성되는 콘텐츠만 이용하기도 하죠. 사이트를 상징할 수 있는 것으로 대표되는 것은 파비콘, 로고, 도메인이 있습니다. 구글 블로거에서 파비콘을 넣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또한, 보다 쉽게 파비콘을 만드는 방법도 살펴봅니다. Contents 구글 블로거 파피콘 등록하는 방법 ① 블로거 설정 메뉴 구글 블로거에는 다양한 기본 설정을 조절할 수 있는 메뉴가 있습니다. 여기서 파비콘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② 파비콘 등록하기 설정에 있는 파비콘 메뉴를 선택합니다. 새로운 창이 뜨면서 파비콘을 등록할 수 있는 페이지를 볼 수 있습니다. ③ 파일 선택 및 저장 준비된 파비콘 이미지를 '파일 선택' 기능을 이용해 선택합니다. 페이지에 파비콘이 등록되는 모습이 보인다면 '저장' 버튼을 이용해 서버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파비콘 설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블로그에 파비콘이 나타나지 않는 것은 설정이 적용되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입니다. 1일~2일 정도 기다리면 적용된 파비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그보다 짧은 시간에 적용된 모습을 볼 수도 있습니다. 파비콘 쉽게 만들기 파비콘은 웹사이트 탭에서 볼 수 있는 작은 아이콘을 의미합니다. 해당 파일은 '.ico' 확장자로 이루어진 파일을 사용해야 합니다. 원하는 아이콘 파일 혹은 이미지 파일을 준비한 후, ico파일로 변환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1. 아이콘 혹은 이미지 파일 준비하기 이미지 편집 혹은 만들기가 쉽지 않게 느껴진다면 '무료 아이콘'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구글 검색에서 '무료 아이콘'이라고 검색하면 수많은 사이트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그 중 하나를 살펴보도록 합니다. 👉 flaticon.com 해당 사이트는 무료 벡터 아이콘 및 스티커를 공유하는 사이트입니다. 여기서 사용자가 ...

    구글 블로그 소제목 꾸미기(ft.블로그 템플릿 설정)

    이미 티스토리, 네이버 블로그에 익숙한 사람들에게 구글 블로그는 참 불편한 서비스임에 분명합니다. 다양한 편의 기능들이 없기 때문이죠. 그나마 워드프레스는 조금 수월하기는 합니다. 그럼에도 구글 블로그를 이용하려는 사람들이 국내에서도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저도 그렇구요. 불편하면 고치면 됩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티스토리 블로그와 같은 소제목 스타일을 구글 블로그에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구글 블로그 소제목 설정 티스토리, 워드프레스에는 css를 편집할 수 있는 툴이 존재합니다. 구글 블로그에도 분명 이런 기능이 있습니다. 다만, css를 추가 혹은 편집한 결과를 보는 방법이 익숙하지 않기도 합니다. 티스토리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되는 글 형식을 미리 불러오는 방법으로 '서식'을 이용하게 됩니다. 구글 블로그에도 티스토리 블로그의 '서식'과 비슷한 기능이 있습니다. 설정에서 찾을 수 있는데요. 바로 " 글 템플릿 "입니다. 글 템플릿이란, 새 글을 작성할 때 미리 설정한 템플릿(서식)을 불러오게 됩니다. 이렇게 불러온 서식에 원하는 글을 작성하는 방법입니다. 글 템플릿 설정 방법 이제 본격적으로 구글 블로그의 글 템플릿 설정 방법을 알아보도록 합니다. 구글 블로그 '설정'에서 '글' 메뉴를 찾으면 됩니다. 구글 블로그 설정 > 글 > 글 템플릿 지정 1. 구글 블로그 설정 구글 블로그에 접속하면 기본적으로 사용자 관리 페이지로 보여지게 됩니다. 처음에는 이 심플한 모습이 낯설기만 하죠. 왼쪽에는 다양한 기능들이 모여있는 사이드바가 존재합니다. 살펴보면 톱늬바퀴모양의 "설정" 기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설정 페이지에서 '글' 영역 찾기 설정 메뉴를 선택하면 다양한 기능들이 주어지는 페이지를 볼 수 있습니다. 스크롤을 내리면 '글'이라는 영역을 찾을 수 있습니다. 하위 메뉴에는 " 글 템플릿(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