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익숙한 티스토리, 네이버, 워드프레스의 경우 기본적으로 카테고리 기능이 제공되고 있습니다. 카테고리는 포스팅을 주제별로 묶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며 사이트를 잘 파악할 수 있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다만, 구글 블로그에서는 기본적으로 카테고리 기능이 없습니다.
그럼 사용하지 못할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테마의 레이아웃 설정을 통해서 '카테고리'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구글 블로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기도 합니다. '라벨'이라는 개념을 우선 파악한 후, 카테고리를 만들어 사용하면 됩니다.
구글 블로그 '라벨' 개념 파악하기
블로그 혹은 사이트 콘텐츠를 생산하고 운영한다면 '태그'라는 이름을 많이 들어봤을 것입니다. 또는 SNS에서도 키워드로 된 태그를 주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런 태그는 포스팅된 콘텐츠와 관련된 키워드로 이루어지게 됩니다. 티스토리의 경우, 태그는 해당 블로그 안에서 포스팅을 분류하고 검색하는 기능으로 이용되기도 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검색 엔진에서 태그가 검색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구글 블로그에서는 태그라는 표현이 없습니다. 대신 '라벨'이라는 표현이 있습니다. 글을 작성할 때, 오른쪽 설정 메뉴 중 가장 먼저 보이는 것이 '라벨'입니다. 태그와 비슷한 개념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글을 분류하고 검색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되는 것이기도 합니다. 다시 말해, 같은 라벨이 붙어 있는 콘텐츠는 해당 라벨을 이용해 분류하여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조금은 느낌이 오나요. 우리가 사용하는 카테고리는 주제 키워드를 기준으로 콘텐츠가 분류되어 한 페이지에 보여지게 됩니다. 구글 블로그에 있는 라벨을 통해 같은 라벨로 설정된 콘텐츠를 하나의 페이지에 표시할 수 있습니다. 물론, 레이아웃의 설정을 통해서 말이죠.
구글 블로그 레이아웃 라벨을 이용해 카테고리 설정하는 방법
본격적으로 구글 블로그 카테고리를 만들어 봅니다.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라벨'을 이용하게 됩니다.
구글 블로그에서는 사이드바에 가젯 추가를 통해 기능을 넣을 수 있습니다. 미리 만들어진 기능도 있습니다. 필요한 경우, html, css, javascript를 이용해 원하는 기능을 만들어 볼 수도 있습니다.
1. 레이아웃 가젯 추가
구글 블로그 관리자 화면에서 '레이아웃'을 선택합니다. 오른쪽에 표시되는 레이아웃 영역들에서 '가젯 추가'를 선택합니다.2. 가젯 추가 목록에서 라벨 선택
위 사진과 같이 가젯 추가 기능을 선택하면 보여지는 목록입니다. 여기서 '라벨'을 선택합니다. 라벨에 대한 개념은 글의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3. 라벨 위젯 구성 설정하기
가젯 추가 목록에서 라벨을 선택하면 위 사진과 같은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본격적으로 라벨 위젯에 대한 설정을 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제목, 라벨 정렬, 표시, 라벨당 글 수 표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4. 카테고리 설정
라벨 위젯 구성의 제목에서 '카테고리' 또는 원하는 이름을 지정합니다. 정렬은 가나다순이 보기에 좋습니다. 목록 혹은 클라우드를 선택한 후, '모든 라벨 / 선택한 라벨'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모든 설정이 끝나면 위 사진과 같은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사이드바에서 카테고리 위젯 중 원하는 라벨을 선택합니다. 해당되는 라벨이 붙은 콘텐츠만 따로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마치며.
라벨을 이용해 카테고리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원하는 경우 태그로 이름을 붙여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그 밖에도 방문자에게 콘텐츠를 더 잘 알릴 수 있는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라벨의 개념과 이를 활용하는 방법을 통해 원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카테고리와 같이 말이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