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구글 블로그 검색 노출하기.(서치콘솔 등록하는 방법)

구글 블로그를 운영하는 목적은 다양할 수 있습니다. 누군가는 상품을 판매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도 하겠죠. 블로그 형태의 경우, 자신의 생각을 작성하고 공유하는 목적이 있습니다. 또는, 정보를 제공하고 광고 수익이 목적인 경우도 있습니다.

어떤 목적을 가지고 있든 중요한 것은 방문자가 발생해야만 한다는 것이죠. 일반적으로 오가닉 트랙픽과 외부 유입(링크 유입)이 있습니다.

오가닉 트래픽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검색 엔진을 이용한 후, 접속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기에는 네이버, 다음, 빙, 줌, 구글등의 검색 엔진이 해당됩니다. 구글의 사용자가 많아지는 만큼 구글 검색에서 상위 노출된다면 큰 트래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구글 블로그 검색 노출 방법

    서론에서도 언급한 것과 같이 검색 노출이 잘 이루어진다면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검색 노출은 자신의 콘텐츠가 상위에 보이게 되었을 때,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구글 검색 노출이 잘 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신경 써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우선, 구글 SEO에 신경 써야만 합니다. 다음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이 구글에 색인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색인(indexing)은 검색 엔진에서 검색 결과를 보여주기 위해 검색되는 데이터베이스라고 생각하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검색어를 이용해 검색을 진행하면 색인 데이터에서 연관된 결과를 보여주게 되는 것이죠.

    구글을 비롯한 여러 검색엔진에는 각자의 봇(bot)이 있습니다. 봇은 인터넷을 돌아다니며 새롭게 발견되는 페이지를 탐색하게 됩니다. 기존에 없는 내용이라면 색인이 진행될 수 있겠죠.

    다만, 봇에 의해 자연스럽게 색인이 되는 과정에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또한, 신규로 생성한 사이트 url의 경우, 봇에 의해 발견되는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런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서치콘솔 등록하는 방법

    구글 서치콘솔(Google Search Console)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계정이 필요합니다. 지메일 계정을 이용할 수 있으며, 네이버 혹은 그 외의 다른 이메일 계정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등록하려는 사이트의 url과 sitemap, rss가 추가적으로 필요합니다. 물론, url만 등록해도 시간이 지나 데이터가 수집 되면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1. 구글 서치콘솔 메인 페이지에서 '시작하기'를 선택합니다.

    2. 속성을 추가합니다. URL 접두어를 이용해 사이트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3. 구글 블로그의 경우, 구글과 제휴가 이루어져 있습니다. 다시 말해, 인증 절차를 별도로 거치지 않아도 됩니다. 구글 블로그 계정과 서치콘솔 계정이 같다면 바로 url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4. 추가로 sitemap과 rss를 등록하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sitemap은 블로그 혹은 사이트의 페이지 구성을 url로 나타내는 페이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보다 빠르게 사이트 요소를 찾을 수 있습니다.
    •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Rich Site Summary)는 업데이트가 이루어진 사이트의 정보를 제공하는 내용입니다. 
    • 참고, 위키백과

    4-1. 구글 서치콘솔 Sitemaps 등록

    개인이 웹사이트를 만들었다면 sitemap 페이지를 구성해야만 합니다. 티스토리, 구글 블로그, 워드프레스의 경우 sitemap이 자동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https://블로그네임.blogspot.com/sitemap.xml
    • https://블로그네임.blogspot.com/atom.xml?redirect=false

    위에서 언급한 두가지의 블로그 주소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서치콘솔에 등록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본 블로그의 사이트맵 주소는 "https://kkcs38.blogspot.com/sitemap.xml"이 됩니다.

    서치콘솔 관리자 화면에서 왼쪽 사이드바를 봅니다. Sitemaps 메뉴를 선택합니다.

    다음 화면에서 '새 사이트맵 추가'를 선택한 후, 등록하려는 사이트맵 주소를 입력합니다. 마지막으로 '제출' 버튼을 클릭하면 '제출된 사이트맵'에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RSS의 경우, 선택 사항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포스팅을 진행한 후, 트래픽이 많아지는 방법은 다양하게 있습니다. 요령이 있다면 보다 빠르고 쉽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장 기본이 되는 내용은 SEO에 충실한 양질의 콘텐츠를 만드는 것이죠. 더불어, 구글 서치콘솔에 사이트와 sitemap을 등록해두면 빠르게 색인이 이루어지고, 구글 검색 노출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애드센스 보고서 보는 방법(날짜별, 일별)

    애드센스를 운영하다보면 차트를 수시로 보게 됩니다. 수익이 많이 잡히는 것이 아니어도, 단 1클릭만 발생하면 체크하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많은 경험이 있는 사람들은 '그 시간에 1개의 포스팅을 해라'라는 이야기를 하기도 합니다. 너무나 좋은 이야기임에 분명하지만, 사람의 마음이 또 그렇지 않습니다. 오늘은 얼마의 수익이 발생했는지 확인하고 싶어지기 때문이죠. 애드센스 홈페이지에 방문한 후, '보고서'를 통해 수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고서는 기본적으로 '지난 7일'을 기준으로 합니다. 전체 수익을 보여주게 되는데요. 전체적인 통계를 보는 방법으로 괜찮습니다. 하지만, 하루 수익을 보기 위해서는 별도의 설정이 필요합니다. 수익이 발생하여 기쁜 마음과 궁금증으로 애드센스를 보기도 하지만, 분석을 위해서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7일을 기준으로 보고서를 보는 경우 수익변화를 분석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자주 이용하는 방법은 일별 수익 변화이기 때문이죠. 이번에는 애드센스 보고서 설정을 통해 수익 변화를 살펴보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Contents 애드센스 보고서 보는 방법 가장 먼저 애드센스 보고서 보는 방법을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애드센스 메인 홈페이지에 접속하도록 합니다. 기본적으로 왼쪽 바이드바에는 여러 기능이 있습니다. 만약, 사이드바에서 아이콘만 보인다면 상단에 있는 햄버거 버튼(가로줄 세개)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위 사진을 참고하면 됩니다. 스크롤을 내리면 '보고서' 라는 메뉴를 찾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본격적으로 '오늘', '지난 7일', '최근 30일', '이번달', '지난달', '맞춤 설정' 등을 진행하여 보고서 양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애드센스 보고서 설정하기 보고서 페이지 상단에 있는 기본 설정 탭을 이용합니다. ● 오늘 가장 먼저 활용할 방법은 '오늘...

    구글 블로거 파비콘 넣는 방법(파비콘 쉽게 만들기)

    웹사이트는 다양한 요소를 기준으로 SEO 점수를 측정합니다. 일부 스팸 사이트의 경우, 세밀한 설정을 생략한 후 다량으로 생성되는 콘텐츠만 이용하기도 하죠. 사이트를 상징할 수 있는 것으로 대표되는 것은 파비콘, 로고, 도메인이 있습니다. 구글 블로거에서 파비콘을 넣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또한, 보다 쉽게 파비콘을 만드는 방법도 살펴봅니다. Contents 구글 블로거 파피콘 등록하는 방법 ① 블로거 설정 메뉴 구글 블로거에는 다양한 기본 설정을 조절할 수 있는 메뉴가 있습니다. 여기서 파비콘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② 파비콘 등록하기 설정에 있는 파비콘 메뉴를 선택합니다. 새로운 창이 뜨면서 파비콘을 등록할 수 있는 페이지를 볼 수 있습니다. ③ 파일 선택 및 저장 준비된 파비콘 이미지를 '파일 선택' 기능을 이용해 선택합니다. 페이지에 파비콘이 등록되는 모습이 보인다면 '저장' 버튼을 이용해 서버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파비콘 설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블로그에 파비콘이 나타나지 않는 것은 설정이 적용되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입니다. 1일~2일 정도 기다리면 적용된 파비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그보다 짧은 시간에 적용된 모습을 볼 수도 있습니다. 파비콘 쉽게 만들기 파비콘은 웹사이트 탭에서 볼 수 있는 작은 아이콘을 의미합니다. 해당 파일은 '.ico' 확장자로 이루어진 파일을 사용해야 합니다. 원하는 아이콘 파일 혹은 이미지 파일을 준비한 후, ico파일로 변환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1. 아이콘 혹은 이미지 파일 준비하기 이미지 편집 혹은 만들기가 쉽지 않게 느껴진다면 '무료 아이콘'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구글 검색에서 '무료 아이콘'이라고 검색하면 수많은 사이트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그 중 하나를 살펴보도록 합니다. 👉 flaticon.com 해당 사이트는 무료 벡터 아이콘 및 스티커를 공유하는 사이트입니다. 여기서 사용자가 ...

    구글 블로그 소제목 꾸미기(ft.블로그 템플릿 설정)

    이미 티스토리, 네이버 블로그에 익숙한 사람들에게 구글 블로그는 참 불편한 서비스임에 분명합니다. 다양한 편의 기능들이 없기 때문이죠. 그나마 워드프레스는 조금 수월하기는 합니다. 그럼에도 구글 블로그를 이용하려는 사람들이 국내에서도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저도 그렇구요. 불편하면 고치면 됩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티스토리 블로그와 같은 소제목 스타일을 구글 블로그에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구글 블로그 소제목 설정 티스토리, 워드프레스에는 css를 편집할 수 있는 툴이 존재합니다. 구글 블로그에도 분명 이런 기능이 있습니다. 다만, css를 추가 혹은 편집한 결과를 보는 방법이 익숙하지 않기도 합니다. 티스토리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되는 글 형식을 미리 불러오는 방법으로 '서식'을 이용하게 됩니다. 구글 블로그에도 티스토리 블로그의 '서식'과 비슷한 기능이 있습니다. 설정에서 찾을 수 있는데요. 바로 " 글 템플릿 "입니다. 글 템플릿이란, 새 글을 작성할 때 미리 설정한 템플릿(서식)을 불러오게 됩니다. 이렇게 불러온 서식에 원하는 글을 작성하는 방법입니다. 글 템플릿 설정 방법 이제 본격적으로 구글 블로그의 글 템플릿 설정 방법을 알아보도록 합니다. 구글 블로그 '설정'에서 '글' 메뉴를 찾으면 됩니다. 구글 블로그 설정 > 글 > 글 템플릿 지정 1. 구글 블로그 설정 구글 블로그에 접속하면 기본적으로 사용자 관리 페이지로 보여지게 됩니다. 처음에는 이 심플한 모습이 낯설기만 하죠. 왼쪽에는 다양한 기능들이 모여있는 사이드바가 존재합니다. 살펴보면 톱늬바퀴모양의 "설정" 기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설정 페이지에서 '글' 영역 찾기 설정 메뉴를 선택하면 다양한 기능들이 주어지는 페이지를 볼 수 있습니다. 스크롤을 내리면 '글'이라는 영역을 찾을 수 있습니다. 하위 메뉴에는 " 글 템플릿(선택...